본문 바로가기
IT이야기

공장 외곽 보안 시스템 구축방안

by 천년백랑 2022. 4. 18.
728x90

공장 외곽 보안 시스템 구축방안 


산업 각 분야의 전문화에 따른 보안 및 방범 유지를 위한 철저한 보안시스템의 구축이 각 기업의 절대적인 과제로 부상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다양한 성능과 기능을 갖춘 카메라, 렌즈, 웹서버, 팬틸트 드라이버, 센서 및 DVR 등 CCTV관련 장비들이 발달하고 있는 현실에서 효과적이고 경제적인 비용 문제를 만족시켜줄 보안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특히 효율적인 인력 및 경비 운용을 위하여 각 기업이 최소한의 보안(경비)인력으로 이를 해결하고자 첨단화되어가는 보안 시스템의 구축을 필요로 하며, 이에 따라 CCTV, SENSOR, DIGITAL 영상 녹화장치 및 경고 방송 SYSTEM 등의 효과적인 배치를 통하여 , 최소의 인력으로 효율적인 보안(경비) 시스템의 구축이 가능토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여기서는 기존의 보안 장비를 활용한 대규모 공장 외곽 보안(경비) 시스템의 구축방안 및 고려사항에 대하여 살펴 보고자 한다. 

공장 외곽 보안 시스템 구축시 고려 사항. 

1. 외곽 총 연장거리, 장애물 여부, 동서의 직선 및 곡선 여부 등을 파악한다. 공장은 위치한 지역 및 지형 여건에 따라 장비의 설치 환경 및 감시의 목적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면밀하게 이러한 사항들을 파악하여야만 카메라의 수량, 렌즈의 배율 선택, cable의 종류 및 배선 배관의 방법, Stand Pole의 선정 등이 가능하다. 

2. 야간 조명 여건을 파악한다. 
- 야간 조도에 상황은 카메라의 선택의 필수적인 점검사항이며 이를 통하여 최저조도를 고려한 카메라의 선정이 이루어진다. 선명한 영상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설치 환경의 조도에 적합한 카메라를 선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상시 보안등이 있다면 그에 맞는 카메라를 선정하도록 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할로겐 라이트 나 센서 라이트 등을 이용하여 아간 조명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3. 보안 인력 인원 수 및 시스템 운영 능력 등을 파악한다. 
- 대부분의 기업이 단순한 경비 목적에 적당한 인력을 경비인력으로 운용하고 있다. 아무리 최첨단의 좋은 보안 장비라 할지라도 운영자의 조작능력이 이를 뒷받침 해주지 못한다면 무용지물이 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운영자의 능력에 맞는 보안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며 상황에 따라 시스템의 조작이 간편하도록 구축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각각의 장비의 조작은 단시간의 교육으로 운영가능토록 구축하여 운영자들이 쉽게 활용토록 하여야 한다. 

4. USER가 원하는 경비의 범위를 정확히 파악한다. 
- 보안 시스템의 구축이 모든 문제를 해결해 주는 것은 아니다. 공장여건, 비용, 주요 감시 POINT ,상황 발생시 적절한 대응의 한계 등을 고려한 효율적인 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다. 

5. 영상의 저장방법 및 저장기간 Main 외의 지역에서의 영상확인 여부등을 파악한다. 
- 보안 시스템의 구축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중의 하나가 선명한 영상의 녹화 및 재생 그리고 녹화영상의 저장기간이다. DVR(Digital Video Recorder)은 이러한 사항들을 만족시켜줄 수 있는 최상의 장비라 할 수 있다. 

설치사례에 따른 세부 고려사항 

울산 지역에 위치한 P공장의 외곽 보안 시스템 구축사례를 통하여 세부적인 고려사항을 점검해 보기로 한다. 

1. 현장 여건 및 SYSTEM 구축 현황. 
1-1 현장여건. 
- 공장의 외곽 총 연장거리가 800M 이고, 외곽담은 직선부분과, 사각지역이 발생되는 곡선지역이 혼합되어 있고, 야간에는 상시 보안등이 설치되어 있다. 카메라는 공장외곽담을 통해 침입하는 침입자를 감시하며 또한 공장내의 주요지점을 감시할 수 있어야 했다. 

1-2 system구축 현황. 
- 경비실에 모니터, DVR, Sensor 수신반 미 방송 system을 구축하였다. 별도의 경비초소가 없는 상황에서 경비실에서 근무자가 공장담을 동선으로 하는 외곽의 상황 및 공장 내부 주요지점의 상황을 모니터링 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근무자가 부족한 관계로 상시 모니터링이 불가능하여 침입자 등에 의한 상황 발생시, 해당구역에 비상 alarm이 울리도록 하였고 동시에 근무자가 마이크를 이용하여 해당지역에 설치된 스피커를 통해 경고 방송이 가능토록 하여 1차 대응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2. 장비의 선정 
2-1 Camera 
- 외곽경비는 지형의 종류에 따라 카메라 설치 대수에 많은 영향을 받게 되는데 평탄하고 양호한 지역은 100M를 기준으로 한 구역을 설정하였고, 곡선 등의 시계 불량 지역은 동선에 따라 카메라의 설치지점을 선정하였다. 현장에 상시 보안등이 있는 관계로 100여 M의 물체 식별이 가능한 광학 22배 줌 렌즈(3.9~85.8mm) 일체형 카메라를 선정하였다. 

2-2 PAN TILT DRIVER 
- 팬틸트 드라이버(전동회전대)는 운영자가 적정하게 활용하면 유용한 장비이지만, 그렇지 못할 경우 설치비용에 비해 그 효율성이 반감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꼭 필요한 위치에만 설치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단되어 중요지점에만 설치하여 설치비용의 경제성을 고려하였다. 이에 별도로 주요지점 한 곳에 auto pan기능이 있는 팬틸트 드라이버를 설치하여 외곽 감시 및 주요시설물의 감시가 가능토록 설치를 하였다. 단 auto pan 기능은 장비의 특성상 상시 작동을 시킬 경우 그 수명의 한계가 있으므로 주기적인 작동과 멈춤을 통해 장비의 원할한 활용이 가능토록 주의를 하였다. 줌카메라의 경우 굳이 pan tilt driver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정확한 각도로 설치된다면 zoom in,out만으로도 감시지역의 감시가 가능하다. 

2-3 BEAM SENSOR 
- 넓은 지역의 외곽 감시에 있어 외부 침입에 대해 즉시 상황파악이 가능하고 이에 즉각적인 대응을 하기 위해 beam sensor의 설치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현장여건을 고려하여 감시거리 75M급의 beam sensor를 설치하였다. Beam sensor의 설치위치는 통상 외곽 담의 중간 부분 또는 상부에 설치하나 관리상의 문제 등 user의 요청에 의해 외곽 담 안쪽 1M 지역에 1M 높이의 Beam sensor Pole을 통해 설치하였다. 상황발생시 main 경비실에 수신반을 통하여 경고음이 울리는 동시에 D/O를 통하여 Beam sensor pole에 설치된 경보 siren에서 경보음이 울리도록 하여 침입자에게 1차 경고를 하도록 system을 구축하였다. 

2-4 경고방송 system 
- 각 구역별로 Horn Speaker를 설치하였고 main 경비실에 Amp 및 Speaker mixer를 설치하여 Beam sensor에 의한 상황발생이 확인될 시 근무자가 마이크를 통해 해당구역에 경고 방송을 하도록 하여 즉각적인 대처가 가능토록 하였다. 

2-5 피뢰보호기(serge protector) 
- 외곽지역 카메라 설치에 있어 피뢰보호기의 설치는 만일에 발생할 수 있는 각종 낙뢰에 대해 장비를 보호하고 system,을 정상 작동하도록 하는 보호장치로 필수적이다. 
자연적인 낙뢰 뿐 아니라 전기적인 충격으로 인한 장비보호를 위해 영상케이블, 전원케이블, 제어케이블에 피뢰보호기를 양단에 설치하였고 stand pole에는 피뢰기를 설치하였다. 

2-6 DVR SYSTEM 
- DVR은 보안시스템의 구축효과를 완결짓는 가장 중요한 장비라 할 수 있다. 편리하고 효율적인 모니터링과 선명한 재생 영상의 구현이 그 관건이라 할 수 있다. 설치 장소의 적합한 조도, 현장에 맞는 카메라의 선정, 그리고 DVR의 Resolution에 따라 user가 만족할 수 있는 영상의 구현이 가능하다. DVR은 저장기간 및 검색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Motion Detection 에 의한 저장이 되도록 하였고 2주 정도의 기간 동안 저장이 가능토록 HDD를 장착하였다. 공장 내 LAN network를 이용하여 관련부서에서 monitoring 및 저장, 검색이 가능토록 system을 구축하였다. 


이상의 장비를 통하여 공장 외곽 경비 system을 구축하여 경비실 내 최소 근무자(2인)가 넓은 지역의 외곽 감시 및 상황발생시 1차적인 대응이 가능토록 하였다. 

728x90